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IT 위키

해당 문서에 연결된 문서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려면 문서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분류에 들어있는 문서를 보려면 분류:분류명으로 입력하십시오). 내 주시문서 목록에 있는 문서의 변경사항은 굵게 나타납니다.

최근 바뀜 설정 최근 1 | 3 | 7 | 14 | 30일간의 50 | 100 | 250 | 500개 바뀐 문서 보기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익명 사용자를 숨기기 | 내 편집 숨기기 | 보이기 | 사소한 편집 숨기기
2025년 9월 22일 (월) 07:41부터 시작하는 새로 바뀐 문서 보기
   
문서 이름:
약어 목록:
새글
새 문서 (새 문서 목록도 보세요)
잔글
사소한 편집
봇이 수행한 편집
(±123)
바이트 수로 표현한 문서 크기의 차이

2025년 9월 20일 (토)

새글    00:47  닫힌 꼴 도함수 차이역사 +1,767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닫힌 꼴 도함수(영어: closed-form derivative)는 어떤 함수의 도함수가 사칙연산, 거듭제곱, 지수·로그·삼각함수 등과 같은 기본 함수들의 유한한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즉, 미분 결과가 무한급수, 적분 기호, 특수 함수와 같이 닫힌 꼴(closed form)로 보기 어려운 표현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정의== 닫힌 꼴(closed form)은 수학에서 잘...)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9월 19일 (금)

새글    06:49  전치 행렬‎‎ 2개 바뀜 역사 +2,352 [인공무능‎ (2×)]
     
06:49 (최신 | 이전) −2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글    
06:48 (최신 | 이전) +2,376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전치 행렬(轉置行列, transpose matrix)은 주어진 행렬의 행(row)과 열(column)을 서로 바꾼 행렬이다. 주어진 행렬 A의 전치(transpose)는 보통 A<sup>⊤</sup>로 표기된다. ==정의== 행렬 A가 m×n 크기일 때, 전치 행렬 A<sup>⊤</sup>는 n×m 크기를 가지며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sup>⊤</sup>)<sub>ij</sub> = A<sub>ji</sub> 예: A = { 1 2 3 4 5 6 } → A<sup>⊤</sup> = { 1 4 2 5 3...)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6:40  항등 함수 차이역사 +3,71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항등 함수(恒等函數, identity function 혹은 identity map)는 정의역(domain)과 공역(codomain)이 같은 집합에서 모든 원소를 자기 자신에게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즉 임의의 x에 대해 id_X(x) = x 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정의== 집합 X에 대하여, 항등 함수 id_X: X → X 는 다음을 만족한다: *정의역과 공역이 같다. *모든 x ∈ X에 대해 id_X(x) = x. ==성질== 항등 함수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9월 18일 (목)

새글    05:40  도함수‎‎ 2개 바뀜 역사 +2,227 [인공무능‎ (2×)]
     
05:40 (최신 | 이전) +24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23 (최신 | 이전) +2,203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도함수(導函數, 영어: derivative)는 함수의 입력값이 변할 때 그 함수의 출력값이 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즉, 주어진 함수의 변화율을 다른 함수의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미분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이다. * 미분(differentiation)은 어떤 함수에 도함수(derivative)를 구하는 과정이고, * 도함수(derivative)는 그 결과로 얻어진 함수이다. ==개요== 도함수는 함수의 순간...)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8  미적분학 차이역사 +2,225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미적분학(微積分學, 영어: calculus)은 함수의 극한을 바탕으로 변화율을 다루는 미분(differentiation)과 면적·누적량을 다루는 적분(integration)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자연 현상과 공학적 문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널리 활용되며, 현대 수학의 기초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개요== 미적분학은 17세기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에 의해 체...)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6  전미분 차이역사 +1,857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전미분(全微分, 영어: total derivative)은 다변수 함수의 모든 변수에 대한 미소 변화를 고려하여 함수 전체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편미분이 한 변수만 변화시켜 계산하는 미분이라면, 전미분은 모든 독립 변수들의 변화를 동시에 반영한다. ==개요== 전미분은 다변수 함수 f(x₁, x₂, …, xₙ)의 입력값이 작은 변화(Δx₁, Δx₂, …, Δxₙ)를 가질 때, 함수 f의...)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4  미분 차이역사 +1,95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미분(微分, 영어: differentiation)은 함수의 순간 변화율을 구하는 연산 또는 과정이다. 주어진 함수의 입력값이 변할 때 출력값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그 결과로 얻어지는 함수는 도함수(derivative)라 한다. ==개요== 미분은 함수의 극한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수학적 도구이다. 이는 물리학에서 속도와 가속...)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3  편미분 차이역사 +1,898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편미분(偏微分, 영어: partial differentiation)은 다변수 함수에서 한 변수만을 독립적으로 변화시켜 구하는 미분이다. 즉, 다른 변수들은 고정한 채 특정 변수에 대해서만 변화율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개요== 단변수 함수의 경우 미분은 입력이 변할 때 출력이 변하는 순간 변화율을 구한다. 반면, 다변수 함수에서는 여러 독립 변수가 존재하므로 전체 변화율을 각각의...)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0  합성 함수‎‎ 2개 바뀜 역사 +2,040 [인공무능‎ (2×)]
     
05:30 (최신 | 이전) +6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0 (최신 | 이전) +2,03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합성 함수(合成函數, 영어: composite function)는 두 개 이상의 함수를 연결하여 만든 함수이다. 하나의 함수의 출력값을 다른 함수의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 ==정의== 두 함수 f, g가 있을 때, g의 정의역에 속하는 x에 대하여 g(x)가 f의 정의역에 속하면 합성 함수 f∘g를 정의할 수 있다. :(f∘g)(x) = f(g(x)) 즉, x에 대해 먼저 g(x)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f에 대...)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25  연쇄 법칙 차이역사 +1,552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연쇄 법칙(連鎖法則, 영어: chain rule)은 미적분학에서 합성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공식이다. 두 함수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함수가 있을 때, 그 도함수는 각 함수의 도함수를 곱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개요== 연쇄 법칙은 "합성 함수의 미분은 내부 함수의 도함수와 외부 함수의 도함수의 곱"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함수가 여러 단계로 연결되어 있을...)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