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IT 위키
IT 위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5월 20일 (화) 14:11 Itwiki 토론 기여님이 162.158.174.246 토론님을 무기한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 2025년 5월 20일 (화) 04:59 BODA 토론 기여님이 상동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동성(相同性, homology)은 서로 다른 생물 종이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구조나 유전적 특성을 공유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개념== 상동성은 주로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해부학적 구조, 유전자, 발생 과정 등이 공통 조상에서 유래했음을 나타낸다. 이는 상사성(相似性)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상사성이 기능이나 형태의 유사성에 초점을 두는 반면 상동...)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20일 (화) 04:58 BODA 토론 기여님이 상사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사성(相似性, analogy)은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구조나 특성이 진화적으로 유사한 기능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현상을 의미한다. ==개념== 상사성은 주로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유기체들이 공통 조상 없이도 유사한 환경적 압력이나 선택 요인에 의해 비슷한 형태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상사적 구조는 수렴 진화(convergent evolution)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20일 (화) 04:58 BODA 토론 기여님이 DNA 분자 시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NA 분자 시계(DNA molecular clock)는 DNA 염기서열의 변화율을 기반으로 생물 종 간의 진화적 분기 시점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개념== DNA 분자 시계는 유전물질이 시간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변한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두 생물 집단 간 유전적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이들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시점을 추정한다. 이 방법은 분자진화율(molecular evolutionary rate)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20일 (화) 04:57 BODA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5년 5월 18일 (일) 20:27 조이엔조이 토론 기여님이 성인용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네일|성인용품 전문점 조이엔조이 배너 '''특허상표권명''' - JOYNJOY '''업종''' 성인용품 '''사이트명''' - 조이엔조이 '''사이트''' - [https://www.joynjoy.com 성인용품 전문 쇼핑몰] [목차] == 개요 == 성인용품은 성인의 성적 욕구 충족과 성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을 말한다. 대표적인 제품군으로는 자위기...)
- 2025년 5월 18일 (일) 20:21 조이엔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성인용품 조이엔조이 배너.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8일 (일) 20:21 조이엔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성인용품 조이엔조이 배너.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8일 (일) 20:20 조이엔조이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5년 5월 16일 (금) 04:49 162.158.174.246 토론님이 분류:Information Scien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y, we have checked your website and it looks like SEO is very poorly done, and it's also missing optimization for Google AI. We guarantee TOP3 placement on search results for a very affordable price. Reach us via Whatsapp: +48 794 972 985)
- 2025년 5월 14일 (수) 06:13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오브젝트 스토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 오브젝트 스토어는 Ray에서 분산된 객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한 메모리 기반 저장소이다. ==개요== Ray의 오브젝트 스토어는 Plasma를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 각 노드에 로컬 저장소가 존재하지만, 클러스터 전체에서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분산 캐시처럼 동작한다. Remote 함수나 액터 메서드의 결과값은 이 오브젝트 스토어에 저장되며, ObjectRef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6:06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GC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 GCS(Global Control Store)는 Ray 클러스터의 전역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구성 요소이다. ==개요== GCS는 Ray 클러스터 내 모든 작업, 객체, 함수, 이벤트 등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역 키-값 저장소로, Ray의 제어 흐름을 중앙 집중화하여 구성 요소 간의 복잡한 상태 동기화를 단순화한다. Ray 2.0 이후부터는 GCS(Global Control Service)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6:01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리모트 액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 리모트 액터는 상태를 유지하는 객체를 분산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ay의 실행 단위이다. ==개요== Remote Actor는 @ray.remote 데코레이터가 붙은 클래스이며, 각 인스턴스는 클러스터 내의 단일 워커 프로세스로 생성된다. 일반 remote 함수와 달리 액터는 내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메서드 호출은 비동기적으로 실행되고 ObjectRef를 반환한다. 액터는...)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5:57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리모트 함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 리모트 함수는 Ray에서 분산 비동기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기본 실행 단위이다. ==개요== 리모트 함수(Remote Function)는 `@ray.remote` 데코레이터를 통해 정의되며, 클러스터의 여러 노드에서 병렬로 실행될 수 있는 비동기 태스크를 생성한다. 함수 호출 시 결과값이 즉시 반환되는 대신, 미래 결과를 참조하는 ObjectRef 객체가 반환되며, `ray.get()`을 통해 최종 값을 가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5:54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ObjectRe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 ObjectRef는 Ray에서 원격 함수 또는 액터 호출의 결과를 참조하기 위한 객체 참조자이다. ==개요== ObjectRef는 Ray에서 분산 비동기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참조 메커니즘이다. remote 함수나 액터 메서드를 호출하면 즉시 결과값이 반환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결과를 가리키는 ObjectRef 객체가 반환된다. ObjectRef는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5:50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Rayle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 Raylet은 Ray 분산 컴퓨팅 프레임워크의 핵심 구성 요소로, 각 워커 노드에서 태스크 실행과 객체 저장을 관리하는 경량 프로세스이다. ==개요== Raylet은 Ray 클러스터 내의 각 노드에서 실행되며, 태스크 스케줄링과 객체 저장소 관리를 담당한다. Ray 0.x 버전에서는 글로벌 스케줄러와 로컬 스케줄러가 분리되어 있었으나, Raylet 구조가 도입되면서 이 기능들이 단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5:41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파일:레이 아키텍처.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4일 (수) 05:41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파일:레이 아키텍처.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4일 (수) 05:39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GRPC (RPC 프레임워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RPC는 고성능 오픈소스 원격 프로시저 호출(Remote Procedure Call, RPC) 프레임워크이다. ==개요== gRPC는 Google에서 개발한 내부 RPC 시스템에서 유래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 목적의 RPC 프레임워크로 발전하였다. HTTP/2를 기반으로 하며, 바이너리 직렬화 형식인 프로토콜 버퍼(Protocol Buffers)를 사용하여 높은 성능과 효율적인 통신을 지...)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4일 (수) 04:28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레이 (분산 컴퓨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Ray)는 머신 러닝 및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범용 분산 컴퓨팅 프레임워크이다. ==개요== 레이는 파이썬 중심의 API를 기반으로 하며, 간결한 코드로 대규모 분산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범용 분산 실행 엔진이다. Ray는 동시성(concurrency), 병렬성(parallelism), 분산성(distribution)을 모두 지원하며, 특히 강화 학습,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대규모 데이터 처리 등의 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3일 (화) 13:52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아파치 스파크 그래프프레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파치 스파크 그레프프레임(GraphFrames for Apache Spark)은 스파크에서 그래프 이론 기반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로, 그래프X(GraphX)의 기능을 데이터프레임 API로 확장한 것이다. ==개요== 그레프프레임은 정점(vertex)과 간선(edge)을 각각 데이터프레임으로 표현하며, 스파크 SQL과의 통합을 통해 강력한 질의 기능과 분산 처리 성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 2025년 5월 13일 (화) 13:51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아파치 스파크 그래프엑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파치 스파크 그래프엑스(GraphX for Apache Spark)는 분산 병렬 처리를 지원하는 아파치 스파크 기반의 그래프 처리 라이브러리로, 정점과 간선으로 구성된 그래프 구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요== 그래프엑스는 RDD(Resilient Distributed Dataset)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정점(vertex)와 간선(edge)을 분산된 형태로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3일 (화) 13:51 104.23.190.173 토론님이 아파치 스파크 그레프엑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아파치 스파크 그래프엑스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3일 (화) 13:02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아파치 스파크 그레프프레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파치 스파크 그레프프레임(GraphFrames for Apache Spark)은 스파크에서 그래프 이론 기반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로, 그래프X(GraphX)의 기능을 데이터프레임 API로 확장한 것이다. ==개요== 그레프프레임은 정점(vertex)과 간선(edge)을 각각 데이터프레임으로 표현하며, 스파크 SQL과의 통합을 통해 강력한 질의 기능과 분산 처리 성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3일 (화) 12:49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님이 아파치 플링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파치 플링크(Apache Flink)는 실시간 및 배치 데이터 스트리밍 처리를 위한 오픈소스 분산 처리 프레임워크이다. ==개요== 아파치 플링크는 대규모 데이터 스트림 처리를 위한 고성능 분산 처리 엔진이다. 스트리밍 데이터를 기본 처리 단위로 삼지만, 배치 처리 또한 스트리밍의 특수한 형태로 간주하여 일관된 API를 제공한다. 플링크는 정확히 한 번(exactly-once)의 상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3일 (화) 06:0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이즈 정리의 전확률.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3일 (화) 06:0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이즈 정리의 전확률.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3일 (화) 06:0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이즈 정리 공식.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3일 (화) 06:0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이즈 정리 공식.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2일 (월) 23:5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스플래이 트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스플레이 트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23:4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외부 이진 트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부 이진 트리(External Binary Tree)은 모든 내부 노드가 정확히 두 개의 자식을 가지며, 오직 리프 노드에만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특수한 형태의 이진 트리이다. ==개요== 외부 이진 트리는 이진 트리의 한 변형으로, 자료의 저장은 리프 노드에서만 이루어지고 내부 노드는 구조적 용도로만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는 알고리즘 이론, 데이터 압축, 정적 집합 표현 등 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23:4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외부 이진 트리 직렬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부 이진 트리 직렬화(External Binary Tree Serialization)은 외부 이진 트리에서 리프 노드에만 실제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트리의 구조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직렬화 방식이다. ==외부 이진 트리== 외부 이진 트리(External Binary Tree)는 모든 내부 노드가 정확히 두 개의 자식을 가지며, 오직 리프 노드에만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이진 트리...)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13:5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플루이드-워셜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13:1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음의 간선이 있는 그래프.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2일 (월) 13:1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음의 간선이 있는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2일 (월) 13:01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벨만 포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벨만-포드 알고리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10:0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마스터의 정리에 사용될 수 있는 식.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12일 (월) 10:0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마스터의 정리에 사용될 수 있는 식.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2일 (월) 10:0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존슨-트로터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존슨 트로터 알고리즘(Johnson–Trotter algorithm)은 모든 순열을 중복 없이 한 번씩 생성하는 순열 생성 알고리즘 중 하나로, 인접한 원소의 교환을 통해 다음 순열을 만들어낸다. ==개요== 존슨 트로터 알고리즘은 1963년 Selmer M. Johnson과 Hale F. Trotter가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n개의 원소에 대해 서로 다른 모든 순열을 중복 없이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알고리즘은...)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5:4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팩토리얼 카운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팩토리얼 카운터(factorial counter)는 주어진 수 n! (n 팩토리얼)의 소인수 분해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소수들이 n! 안에 얼마나 곱해져 있는지를 세는 수론적 알고리즘 또는 함수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n에 대해 n!에 등장하는 소수 p의 지수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 ==정의== 팩토리얼 카운터는 다음 문제를 해결한다: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소인수 분해에서 어떤 소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5:4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피셔-예이츠 셔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셔-예이츠 셔플(Fisher–Yates shuffle)은 유한한 개수의 항목을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하는 알고리즘이다. 모든 가능한 순열이 동일한 확률로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특징을 가지며, 난수 생성기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역사== 이 알고리즘은 1938년 로널드 피셔(Ronald Fisher)와 프랭크 예이츠(Frank Yates)가 통계표 작성을 위한 표본 무작위화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당시에는...)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5:24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공분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분산(共分散, covariance)은 두 확률 변수 간의 선형 관계를 나타내는 통계량이다. 공분산은 두 변수의 편차 곱의 평균으로 정의되며, 양의 값을 가지면 두 변수는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고, 음의 값을 가지면 반대 방향으로 변화한다. ==정의== 두 확률 변수 X와 Y에 대해, 공분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모집단 공분산: Cov(X, Y) = E[(X - μ<sub>X</sub>)(Y - μ<sub>Y</sub>)...)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3:2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이분 그래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분 그래프(二分graph, bipartite graph)는 그래프 이론에서 정점 집합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같은 부분에 속한 정점끼리는 간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그래프이다. ==정의== 이분 그래프는 정점 집합 V를 두 개의 서로소 부분 집합 U와 W로 분할할 수 있으며, 모든 간선은 U와 W를 잇는 방식으로만 존재하는 그래프이다. 즉, 간선은 같은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 연결되지...)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3:21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정규 그래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규 그래프(正規graph, regular graph)는 그래프 이론에서 모든 정점의 차수가 동일한 그래프이다. ==정의== 정규 그래프란 그래프에 속한 모든 정점이 동일한 차수를 가지는 그래프로, 모든 정점이 k개의 간선을 가질 경우 이를 k-정규 그래프(k-regular graph)라고 한다. 이때 k는 0 이상의 정수이다. 정규 그래프는 방향성이 없는 단순 그래프일 수도 있고, 방향 그래프일 수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3:2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완전 그래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완전 그래프(完全graph, complete graph)는 그래프 이론에서 임의의 두 정점이 정확히 하나의 간선으로 연결된 단순 그래프이다. ==정의== 완전 그래프는 정점 집합 내의 모든 쌍이 간선으로 직접 연결된 무방향 단순 그래프이다. 정점의 수가 n일 때, 이 완전 그래프는 Kn으로 표기하며, 총 간선 수는 n(n-1)/2개이다. 모든 정점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 그래프이며, 각...)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3:1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4색 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4색 정리(Four color theorem, 四色定理)는 어떤 지도든 인접한 지역이 같은 색을 가지지 않도록 하면서 최대 4가지 색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개요== 4색 정리는 평면 또는 구면 위의 임의의 분할된 영역(예: 국가, 주 등)에서 인접한 두 영역이 같은 색을 가지지 않도록 색칠할 때, 단 4가지 색만으로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접"이란 두 지역이 경계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3:1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그래프 색칠 문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그래프 색칠 문제(Graph coloring problem)는 인접한 정점들이 같은 색을 가지지 않도록 하면서 그래프의 정점에 색을 칠하는 조합 최적화 문제이다. ==정의== 그래프 색칠 문제는 정점 색칠(vertex coloring), 모서리 색칠(edge coloring), 면 색칠(face coloring) 등 여러 변형이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정점 색칠 문제이다. 주어진 무방향 그래프에서 인접한 정점들이 같은 색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2일 (월) 01:0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해시 함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해시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2일 (월) 01:0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RSA 암호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SA(Rivest–Shamir–Adleman)는 대형 소수의 곱으로 구성된 정수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비대칭형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 개요 == * RSA는 1977년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론 리베스트(Ron Rivest), 아디 샤미르(Adi Shamir), 레오나르드 애들먼(Leonard Adleman)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이들의 이름 머리글자를 따서 알고리즘 이름이 붙여졌다. * 공개키 암호화 방식 중 가...)
- 2025년 5월 12일 (월) 00:41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모듈러 모듈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영어 단어 "'''modular'''"는 한국어로 "'''모듈러'''"라고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외래어의 발음을 가능한 한 가깝게 표기하려는 원칙에 따른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모듈러"로 시작되는 일부 단어들이 등재되어 있고 "모듈로"는 없다. 그러나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는 "modular arithmetic"을 "모듈로 산...) 태그: 시각 편집